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8

생산성 분석을 위한 상세 작업지시와 생산실적 등록 ■ 생산 실적 등록 개요 생산실적 입력은 작업지시 내역을 기반으로 한 화면에서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양품.불량 정보, 비가동 시간, 생산설비, 불량요인 정보, 품질 판정 결과 등을 상세한 자료와 함께 입력할 수 있습니다. 생산공정실적관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기능은 생산지시. 실적집계 , 생산성 분석일 것입니다. 입력을 최소화 하고 시스템 간 정보가 항상 일치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작업일지를 기반으로 한 지시 대비 실적 정보 입력 시에도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지만, 현장의 상황에 맞게 입력관리하여 과다한 입력으로 인한 현업의 업무부담이 되지 않도록 해야하며, 설비 연동을 통한 실적 Gathering 지원과 Kiosk 화면 구성을 통해 입력을 실시간 입력과 입력 내용의 간소화 해야 합니다.. 2021. 6. 18.
ROUTING(작업공정표) 기반의 생산관리 ■ Routing 생산관리 개요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 순서(경로) 등을 Routing BOM 입력을 통하여 먼저 정의하고, Work Center와 공정 수행에 필요한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생산절차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품목 Routing 입력 화면에서 제품별 Routing 관련 공정, 공장, 작업장, 기본생산설비와Count Point 설정을 위한 투입등록, 실적등록, 자동실적처리 등의 세부정보를 입력하고 Back Flush 정보와 각 공정별 창고 지정과 일 공정 Read Time, 적용기간 등의 기본 Routing 정보를 입력관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품목별 Routing를 관리합니다. 이러한 Routing을 기반으로 생산계획 및 실적관리는 작업 시간이 긴 업종이나 공정이 긴.. 2021. 6. 17.
사업장별/월간/인당/설비별 생산성 분석 ■ 생산성 분석 개요 생산성을 분석하는 목적은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투입 대비 최대의 산출을 달성하기 위한 것일 것이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윤의 극대화로 이어지기에 생산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생산성 분석 자료를 제공받고자 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생산 계획 대비 실적, 공정간 생산 실적, 투입되는 생산요소의 총산출을 통하여 설비 및 투입 인력의 노동 생산성에 대한 분석과 생산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투입 대비 실적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합니다. 생산실적 입력 자료를 토대로 작업장, 설비, 인력에 대한 상세한 효율성을 분석을 제공하며, 투입시간, 계획 유실, 속도 로스, 부하 시간, 가동시간 등을 토대로 성능 가동률 등을 분석합니다. ■ 생산성 분석 주요 MENU 생산 비가.. 2021. 6. 16.
ERP와 통합 운영되는 자동화 스케줄링 시스템(APS) ■ 자동화 스케줄러(APS) 개요 자동화 스케줄러를 통한 작업지시 및 공정별 부하 분석을 활용하면 생산자원의 효율적 운영과 활용을 증대시키며, 현장 작업자의 업무 편의성을 고려한 실적 수집방안을 제공하며, 다양한 생산지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스케줄러(APS)를 MES 시스템과 연계하면, 생산 리드타임과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눈에 보이는 현장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납기관리, 납기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 수주 시 현재 진행 중인 모든 생산현황을 즉시 파악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납기 가능한 일자를 정확하게 제공하여 계약에 활용할 수 있으며, 수주 건에 대한 생산계획 Simulation을 통하여 최적의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재비, 인건비.. 2021. 6. 15.
수입.수출관리, 무역원가와 관세환급 ■ 무역관리 개요 수입과 수출 물류 및 관련 서식을 관리합니다. 수출관리는 Offer, Order에서 생산, B/L, Nego까지의 단계별 Tracking 기능과 수출 관련 서류를 제공하고, 수입관리는 L/C에서 입고까지 각 단계별 Tracking 기능과 수입 관련 서식을 전산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무역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비용에 대한 자동 회계 전표 발행과 무역 원가를 지원합니다. Offer, Order에서 생산, B/L, Nego까지 통합 진행 수출시스템 구축에 의한 판매활동 지원과 L/C에서 입고까지 진행 단계별 수입 시스템 관리를 지원하여 중복업무를 배제하고 정보의 공유 및 활용 체제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 실적자료 집계 분석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무회계 등 타 시스템과.. 2021. 6. 14.
타계정 대체처리를 통한 원자재의 상품 매출 처리 ■ 타계정 대체 처리 개요 원자재 등으로 매입한 품목의 정상적인 회계거래가 아닌 타계정으로의 대체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상품 대체 출고 및 타계정 품목 제고 조정 등의 몇 가지 모듈이 필요합니다. 원자재로 매입한 자재의 AS 출고 등으로 인한 재고자산의 변화에 따라 상품으로의 타계정 출고를 처리하고, 재고자산의 변동에 따른 증감에 대해 타계정 분개 처리를 통해 결산 정리 분개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처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품 출하 등록과 매출 처리 화면을 별도로 지원하고 매출 계산서, 매출전표 발행까지 연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타계정 품목 재고조정 화면 또한 별도로 제공하여 업무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 타계정 대체 처리 주요 화면 2021.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