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3 ERP 도입 방안 – CLOUD / PACKAGE / SI 기업의 업종, 매출 규모, 요구업무 등에 적합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사전조사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선택 해야 합니다. 조직과 매출규모가 작으면 당연히 Package나 Cloud를 선호 할 것이며, 규모가 크거나 전산실을 보유하고 있다면 Win-Back 방식의 SI를 선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두가지 모두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기업의 실정에 맞게 도입된다면 그 효과가 크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가장 먼저 현업에서 사용을 중지할 것입니다. 구분 Package SI 장 점 -단기간 내에 적용을 마칠 수 있음 -심도 있는 개발로서 도입 성공률이 높음 표준화 -S/W모듈 자체가 표준업종(수주/양산/조립)의 표준화된 업무를 대상으로 설계, 구축되어 있음 -기업 내 비정형적, 비 표준화 되.. 2021. 2. 3. ERP 도입과 관리 주체로써의 전산실 현재 기업의 경영환경 변화 측면에서 보면, IT 기반 없는 업무환경 구축은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 있습니다. 업무의 시작에서 마무리까지 어느 한 부분 IT를 빼고 추진할 수 없기에, 기업 내에서 IT를 얼마나 활용하느냐 하는 문제가 중소기업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대략 매출 300억 이상의 매출을 하는 중소기업이라면 최소의 인원으로라도 전산실을 구축하고, 현업을 지원하는 부분에서부터 회사 전반에 걸쳐 있는 솔루션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까지 모색하여야 합니다. 전산실을 단순 지원 부서로 유지하기 보다는, 업무 전반에 걸쳐 IT를 활용하여 업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주도적 역할을 부여하고, 그 위상에 변화를 주어야 합니다. 예전과 달리 IT를 잘 활용하면 기업의 업무 문화 자체가 .. 2021. 1. 29. OPEN SOLUTION ERP의 가능성과 도입효과 Package ERP 로부터 벗어나 소스를 보유하고 자체 개발 역량을 갖춰 구축 후의 운영에 더 중점을 둬야 합니다! 1. 전산실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전산실이 보유 기업과 미 보유 기업은 기업 전반의 IT 체계에 있어 큰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이 ERP 등 1개 이상의 솔루션을 운영하고, PC 대수가 30 대 이상이며, NETWORK, 보안, 홈페이지 등 관리해야 할 업무가 상당히 많기에 이 모든걸 주관리자 없이 아웃소싱 처리한다면 현업인원은 업무관리 등 많은 부분에서 어려움이 초래될 수 밖에 없습니다. 2. Package ERP 시스템의 한계성을 알아야 합니다. 전산실 없는 기업은 편리성과 예산 때문에 Package 시스템을 도입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Pack.. 2020. 12.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