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산실18

ERP 도입 기업의 경영환경 및 IT 환경의 변화 ERP를 신규 구축하거나 Win-Back을 준비하는 기업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요청 사항을 IT 기업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IT 기업도 기술적 발전을 토대로 기술적, 기능적으로 다양한 구축 방안을 고객에게 제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다양한 고객 요구 수준에 대응하기 위한 IT 기업의 기술적 향상에 대한 수용과 변화에 대한 대응도 매우 빨라질 것입니다. 특히, 다양한 IT 기기의 공급과 접속 방법의 다양화는 언제 어디서든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User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변화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제안서 보러가기 ▶ www.emaxit.co.kr 2021. 2. 3.
ERP 도입 방안 – CLOUD / PACKAGE / SI 기업의 업종, 매출 규모, 요구업무 등에 적합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사전조사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선택 해야 합니다. 조직과 매출규모가 작으면 당연히 Package나 Cloud를 선호 할 것이며, 규모가 크거나 전산실을 보유하고 있다면 Win-Back 방식의 SI를 선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두가지 모두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기업의 실정에 맞게 도입된다면 그 효과가 크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가장 먼저 현업에서 사용을 중지할 것입니다. 구분 Package SI 장 점 -단기간 내에 적용을 마칠 수 있음 -심도 있는 개발로서 도입 성공률이 높음 표준화 -S/W모듈 자체가 표준업종(수주/양산/조립)의 표준화된 업무를 대상으로 설계, 구축되어 있음 -기업 내 비정형적, 비 표준화 되.. 2021. 2. 3.
ERP 구축 TREND의 변화 – ‘OPEN SOLUTION ERP’ 지난 10 여 년간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Package 기반의 ERP 시스템 도입을 해 왔습니다. 하지만 아웃소싱 바람을 탄 패키지 ERP 구축은 ERP 구축 성공률에 있어 매우 낮은 결과를 낳았고,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결국 아웃소싱 하던 전산실 업무를 다시 재편하고, 사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IT 업무에 대해 전산실이 관여하였으며, ERP 부분에 있어서도 소스를 직접 확보하고 현업을 지원하는 것이 현업의 만족도를 올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라는 것과 소스를 공개하여 제공하는 ‘Open Solution ERP’ 시스템 제공 기업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습니다. 제안서 보러가기 ▶ www.emaxit.co.kr 2021. 2. 2.
OPEN SOLUTION ERP의 VISION 90년대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ERP 구축 방안에 대한 고민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또,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업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2010년 이후부터 현재에도 그 변화는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기가 힘들 정도로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ERP 전문 IT기업들도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시장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 상황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ERP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양화.다변화 하고 있으며, 초기 시장의 수준과는 달리 끊임없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제, Package ERP 위주의 기존 틀에서 벗어나 전산실 및 개발자들에게.. 2021. 2. 2.
ERP 개발 PLATFORM의 필요성 ‘Open Solution ERP’ 시스템의 개발 Platform 은 Microsoft의 최신 기술인 .net Framework 을 활용하였습니다. ERP 를 개발함에 있어 대부분의 ERP 기업들이 자체 개발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지만 대부분 생산성이 낮아 일반 소스코딩(일명 날코딩)과 별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 방식은 개발자 개인의 역량에 따라 코딩의 수준이 다르고 나름대로의 방식을 고수하기에 다른 개발자가 개발한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ERP 기업 내에서도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Open Solution ERP’ 시스템의 ‘Frame7’ 개발 플랫폼을 활용하면, 소스 코딩을 자동화하여 개발자의 단순 반복 업무로부터 벗어나게 해 주며, 소스.. 2021. 2. 1.
‘FRAME7’ .NET 개발 PLATFORM 구축 환경 ‘Frame7’ 개발 플랫폼은 Microsoft사의 최신 기술인 .net Framework과 Developer Express사의 DX Grid 를 활용하였습니다. Microsoft사 Tool을 활용한 것은 국내 전산실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생산성이 높고 가장 편하게 접할 수 있는 Tool 이기에 인력 확보가 쉬워 구축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다국어 지원 측면에서도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기업에서 가장 많이 요구하는 Explorer 기반의 WEB 환경을 지원(C/S도 동시 지원)하고, 다법인 기반하에 다국어(10개 국어 이상), 다통화를 지원하여 해외에 사업장을 둔 글로벌 시장 진출 기업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중소기업을 비롯한 중견기업에도 구축이 가능하.. 2021. 2. 1.